국가행정의 발전에 기여할 공직 인재 양성!정부행정학부
위치
공공정책관 107호전화
044-860-1540팩스
044-860-1580
위치
공공정책관 107호
전화
044-860-1540
팩스
044-860-1580
정부행정학부는 한국의 Washington D.C.라 할 수 있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국가행정의 발전에 기여할 공직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에는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국가정책수립의 핵심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정부기관의 70% 이상이 집결해 있다. 정부행정학부는 국가행정기관 및 지방정부에서 정책을 분석하고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탁월한 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조직관리, 정책분석 및 평가, 정부 예산 및 재정, 공공서비스 설계 등에 관한 다양한 강좌를 제공한다. 특히, 세종시 중앙행정부처에 학생들이 직접 방문하여 행정현장을 분석하면서 실무적인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현장 밀착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공무원 시험에 필요한 강좌들을 제공하고 행정고시 준비반을 운영하여 학생들이 국가고등고시, 7급 공무원, 공기업 등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정부행정학부의 졸업생들 중 다수는 공직시험에 합격하여 각 정부기관의 국장, 과장, 사무관 등 고급관료로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정부행정학부의 교수진은 각 전공분야별로 뛰어난 전문성과 정부기관의 실무경험을 가진 권위있는 학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진은 해외 명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감사원, 국가정보원, 경찰대학교, 국책연구기관 등에서 근무한 풍부한 실무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이며, 각 전공분야에서 정부기관의 위원 및 학회 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1. 정책 분석적 사고력
국가정책을 분석하고 각종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설계할 수 있는 창의적, 분석적 사고력을 가진 인재
2. 정부행정에 대한 혁신적 리더 역량
정부의 구조와 행정기관들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며 정부운영의 효율성을 위한 비판적 사고력과 혁신을 주도할 리더로서의 적극성 및 합리적 판단력을 가진 인재
3. 국제적 행정 리더역량
국가 간 공동문제해결을 위해 정부 간의 협력을 주도할 수 있도록 국제정책이슈에 대한 탁월한 영어 토론능력을 가진 인재
공법행정 전공 :국가안보와 치안을 위한 법률의 집행 및 행정관리 역량 함양
정부성과관리 전공 :조직진단을 위한 분석모형 및 기법, BSC와 성과관리, 재정성과분석, 평가시스템 및 지표 설계, 인적자원의 직무성과 제고 방안 등 성과 평가 직무 역량 함양
국가위기관리 전공 :유형별 위험 및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설계, 정보시스템, 규제, 기관간 협력체제 구축 등 위기관리 역량 함양
미래도시과학정책 전공 :스마트 ICT를 활용한 도시기획과 관리, 도시 거버넌스에 대한 참여적 관리 등 미래도시관리를 위한 실무역량 함양
이름 | 직위 | 전화번호 | 이메일 | 연구분야 |
---|---|---|---|---|
김상봉 | 교수 | 044-860-1545 | s-kim@korea.ac.kr | 정책설계 및 기획, 정책분석 및 평가, 비용편익분석, 도시 및 지역개발정책, 계량분석 |
임준형 | 교수 | 044-860-1546 | jlim@korea.ac.kr | 전자정부, 공공관리, 조직론, 환경정책 |
심광호 | 교수 | 044-860-1548 | simbai@korea.ac.kr | 공공감사, 평가, 성과관리, 방법론 |
조현구 | 교수 | 044-860-1549 | pmack27@korea.ac.kr | 정책학, 미국 정책결정과정, Global Governance |
오정록 | 부교수 | 044-860-1547 | jroh58@korea.ac.kr | 인적자원 관리 및 개발, 조직론, 법과 정책(노동/교육/청렴/환경) 등 |
강영철 | 교수 | 044-860-1544 | paschal@korea.ac.kr | 성과관리 및 측정, 공공관리, 경찰행정 |
계인국 | 부교수 | 044-860-1543 | bingbing77@korea.ac.kr | 행정법, 규제행정법, 경제행정법, 과학기술행정법, 헌법 |
정부행정학부는 공무원 시험을 통해 정부기관에 진출할 뿐만 아니라 기업체, 언론계, 시민단체 등에서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외 명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대학교나 국책연구원에서 교수 및 연구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국가 고등고시를 합격하여 공직에 진출한 교우로서 대표적으로 유희상(85, 감사원), 신익현(87, 행정고시 차석 교육과학기술부), 김충섭(95, 국회사무처), 이승관(93, 특허청) 등 다수가 각 정부부처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또한 최정윤(2002학번, 국방부), 김진주(2006 학번, 지식경제부) 등 6급 특채 및 7급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다수의 졸업생들이 각 행정기관에서 우수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언론계에서는 박진호(88) 교우가 SBS 앵커로 활동하였고, 기업에서는 권순범(85, 국민은행), 이승만(88, 대한항공), 김건중(85, 한국전력), 박희수(85, 일본 쓰미또모은행) 등의 교우가 활동하고 있다.
또한 많은 졸업생들이 미국과 영국의 명문대학 행정학 스쿨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대학교수와 국책연구원에서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 Pittsburgh 대학, 영국 London 대학, 미 Florida 주립대학, 미 Indiana 대학, 미 Rutgers 대학 등을 졸업한 교우들이 경찰대학, 국립경상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학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각계 각층에서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교우들은 매년 정부행정학부 취업특강을 개최함으로써 후배인 재학생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끌어 주는 멘토 역할을 하고 있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선수과목 | 비고 |
---|---|---|---|---|
DPAD161 | 행정학의이해 | 3(3) |
|
|
DPAD201 | 공공인적자원관리론 | 3(3) |
|
|
DPAD202 | 공공정책론 | 3(3) |
|
|
DPAD203 | 재무행정론 | 3(3) |
|
|
DPAD204 | 정부조직관리론 | 3(3) |
|
|
DPAD205 | 행정학개론 | 3(3) |
|
|
DPAD206 | 행정과리더쉽 | 3(3) |
|
|
DPAD207 | 헌법 Ⅰ | 3(3) |
|
|
DPAD208 | 헌법 Ⅱ | 3(3) |
|
|
DPAD209 | 민법총칙 | 3(3) |
|
|
DPAD211 | 한국정치의이해 | 3(3) |
|
|
DPAD212 | 도시행정론 | 3(3) |
|
|
DPAD213 | 정부조직진단론 | 3(3) |
|
|
DPAD214 | 정책설계론 | 3(3) |
|
|
DPAD215 | 공공선택론 | 3(3) |
|
|
DPAD216 | 국제정치경제론 | 3(3) |
|
|
DPAD217 | 시민사회와자치 | 3(3) |
|
|
DPAD218 | 형법 | 3(3) |
|
|
DPAD220 | 사회과학과정책의이해와응용 | 3(3) |
|
|
DPAD301 | 공공관리론 | 3(3) |
|
|
DPAD302 | 공공성과측정의이해 | 3(3) |
|
|
DPAD303 | 전자정부론 | 3(3) |
|
|
DPAD304 | 공기업론 | 3(3) |
|
|
DPAD305 | 행정법 Ⅰ | 3(3) |
|
|
DPAD306 | 행정법 Ⅱ | 3(3) |
|
|
DPAD307 | 지방정부론 | 3(3) |
|
|
DPAD308 | 정책과법 | 3(3) |
|
|
DPAD309 | 규제정책론 | 3(3) |
|
|
DPAD311 | 정책분석론 | 3(3) |
|
|
DPAD312 | 정책평가론 | 3(3) |
|
|
DPAD313 | 정부관리세미나 | 3(3) |
|
|
DPAD314 | 정부간관계론 | 3(3) |
|
|
DPAD315 | 행정이론 | 3(3) |
|
|
DPAD316 | 정치경제론 | 3(3) |
|
|
DPAD317 | 국제행정론 | 3(3) |
|
|
DPAD318 | 조사방법론 | 3(3) |
|
|
DPAD319 | 형사소송법 | 3(3) |
|
|
DPAD321 | 경찰행정론 | 3(3) |
|
|
DPAD322 | 범죄수사학 | 3(3) |
|
|
DPAD323 | 행정계량분석 | 3(3) |
|
|
DPAD324 | 공공기획론 | 3(3) |
|
|
DPAD325 | 도시및지역개발론 | 3(3) |
|
|
DPAD326 | 환경행정론 | 3(3) |
|
|
DPAD328 | 공공전략관리론 | 3(3) |
|
|
DPAD332 | 인적자원개발과CDP | 3(3) |
|
|
DPAD334 | 공공의사결정론 | 3(3) |
|
|
DPAD401 | 정부성과관리론 | 3(3) |
|
|
DPAD402 | 행정현장연습 | 3(3) |
|
|
DPAD403 | 행정학특강 | 3(3) |
|
|
DPAD404 | 정책사례연구 | 2(3) |
|
|
DPAD405 | 정책학특강 | 3(3) |
|
|
DPAD406 | 정책과철학 | 3(3) |
|
|
DPAD407 | 공공감사론 | 3(3) |
|
|
DPAD409 | 갈등관리와 협상 | 3(3) |
|
|